[ NABIS 뉴스레터 2024-18호 ]
농부의 손길에서 우리의 식탁까지 : 쌀과 농부, 그리고 소통의 이야기
박종범
농사펀드 대표
목차
1. 이 쌀은 누가 키웠을까?
2. 영화 마션의 주인공은 어떻게 지구로 돌아왔을까?
3. 농촌과 도시 사이의 해커
4. SNS로 농사짓는 청년 농부들
5. 다시, 이 쌀은 누가 키웠을까?
1. 이 쌀은 누가 키웠을까?
오늘 먹은 밥은 누가 키운 쌀로 지었는지 알고 있나요? 거의 매일 밥을 먹고 살지만 대부분은 그 쌀이 어디에서 왔는지, 누가 어떻게 키웠는지 알지 못합니다. 상온에서 오랫동안 보관되는 즉석밥도 있고 외식과 배달로 끼니를 때우다 보면 쌀을 보지 못하는 날도 꽤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벼를 기르는 농부가 누군지 묻다니, 참 시대에 뒤떨어진 질문입니다.
가족 중에 농부 한 명쯤 있던 시대도 지나갔습니다. 약 2,300만 가구 중 농업 가구는 99만, 5%가 채 안 되는 숫자이니 이제 친척 중에 쌀을 보내줄 사람이 없는 현실입니다. 그 자리를 유통 시스템이 채우고 있습니다. 규모화, 체계화를 기본으로 하는 유통 시스템에서 개별 농부는 오히려 변수에 가깝습니다. 효과적으로 지우거나 통제해야 효율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우리가 먹는 밥에 농부 이름이 적히지 않고 지역이나 품종으로 묶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쌀의 유통 과정을 좀 더 들여다보면, 우리는 이 체계가 얼마나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농부들은 생산된 쌀을 농협이나 지역의 미곡종합처리장(RPC)에 납품합니다. 여기서 쌀은 품질에 따라 분류되고, 포장된 후 대형 마트나 소매점으로 이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쌀의 출처는 점점 더 모호해지고, 소비자는 결국 어느 농부의 쌀을 구매했는지 알기 어렵게 됩니다. 우리가 오늘 먹은 쌀을 누가 키웠는지 알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2. 마션의 주인공은 어떻게 지구로 돌아왔을까?
리들리 스콧 감독의 2015년 영화 '마션'에서 주인공 마크 와트니는 화성을 탐사하던 중 모래 폭풍을 만나 혼자 남게 됩니다. 한정된 자원으로 어떻게 그렇게 긴 시간을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요? 그것은 수증기를 만들어낸 과학 지식도 아니었고, 감자 농사의 성공도 아니었습니다. 저는 노트북의 카메라와 패스파인더를 이용한 통신 덕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 줄 누군가가 있었기 때문이죠.
현재의 농부들은 고독합니다. 존재하지만 도시의 사람들은 그들의 존재를 모르죠. 쌀은 먹지만 그 쌀을 누가 어떻게 기르는지 모르는 것처럼요. 이 고독감 속에서 농부들은 농사를 짓습니다. 지난해 부여로 조관희 농부를 만나러 갔을 때 산속의 작은 밭에서 무 농사를 짓고 있었습니다. 500평 정도 되는 밭에 사람이라고는 농부 혼자였죠. 마치 화성에 홀로 남겨진 와트니처럼요. 농부가 농부의 삶을 포기하지 않으려면 우리는 보다 더 연결되어야 합니다. 마션의 주인공이 로버를 끌고 불가능해 보이는 주행을 한 것도, 상승선의 해치를 띄어 버리고 우주로 날아 오른 것도 수천만 km 떨어져 있는 곳에서 그의 삶을 응원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는지도 모릅니다.
영화에서 와트니가 겪었던 고립은 극단적이었지만, 농부들이 느끼는 고립감도 다르지 않습니다. 도시에서의 삶과 농촌에서의 삶은 너무나 다릅니다. 도시 사람들은 번잡한 일상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며 살지만, 농부들은 넓은 논밭에서 홀로 일하는 시간이 대부분입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와트니처럼 그들의 존재를 증명해 줄 누군가입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는 더 연결될 수 있을까요? 영화에서 보면 패스파인더를 로버와 연결해 지구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해커들이 나옵니다. 그 덕분에 와트니는 자신의 생존 상황을 전달하고 지구에 있는 사람들과 보다 쉽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되죠. 우리에게도 이런 해커들이 필요합니다. 농촌과 도시를 연결해 줄 해커요.
3. 농촌과 도시 사이의 해커
작은 규모로 농사짓는 농부들은 판로가 불안정합니다. 대형 유통사와 계약하기에는 생산량이 부족하고, 지역 공판장을 통한 출하는 제값을 받기 어렵습니다. 온라인 직거래가 대안으로 떠올랐지만, 자신을 도시 소비자에게 소개할 콘텐츠가 부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