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평생학습도시 선정 결과 발표
- 신규 지정 도시 7개, 지역 특성화 17개 도시 및 4개 시·도 선정 -
주요 내용
□ 신규 지정 7개 도시와 기존 지역 특성화 지원 17개 도시, 총 24개 평생학습도시에 약 11억 원의 평생학습사업 운영 경비 지원
□ 평생학습도시와 시·도 평생교육진흥원 연계형(컨소시엄)에는 4개 시·도 지원으로 다양한 지역주체(지자체, 대학 등)의 참여 유도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강대중)은 3월 6일(월),
“2023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의 평생학습도시 선정 평가 결과 신규 평생학습도시 7개를 선정하고,
기존 평생학습도시 특성화 지원에 17개 평생학습도시(단독형), 4개 시·도(평생학습도시-시·도평생교육진흥원 연계형)를 선정·발표하였다.

ㅇ 올해는 7개 기초지자체*를 평생학습도시로 신규 선정하여 각 90백만 원 내외의 평생교육사업 운영비를 지원한다.
* 강원 양양군, 경남 고성군, 경북 봉화군, 전남 구례군, 충남 계룡시, 충남 청양군, 충북 보은군
□ 또한 교육부는 기존 평생학습도시 특성화 지원 사업인‘지역 특성화 프로그램’과‘평생학습도시-시·도평생교육진흥원 연계형(컨소시엄)’에도 운영비를 지원한다.
ㅇ 지역 특성화 프로그램은 읍·면·동 평생학습 공간 등을 활용해 지역 특색을 반영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기초지자체 17개 도시*를 선정하였으며 다양한 평생교육사업을 지원(각 30백만 원 내외)할 계획이다.
* 강원 삼척시, 강원 철원군, 경기 부천시, 경기 평택시, 경기 하남시, 광주 동구, 광주 북구, 대구 남구, 대구 수성구, 부산 금정구, 부산 서구,
부산 중구, 서울 동대문구, 서울 종로구, 전남 곡성군, 전북 김제시, 충북 충주시
ㅇ 평생학습도시-시?도평생교육진흥원 연계형(컨소시엄)은 광역 차원의 평생학습 자원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총 4개 시·도(강원도, 부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를 선정하여 지원(60백만 원 내외)하고,
기초-광역 지자체 간 평생교육 분야 연계-협력 우수사례를 발굴할 계획이다.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대학-기업이 함께 평생학습 진흥에 주력할 수 있는
지역 평생학습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강조하고,
ㅇ “올해는 평생교육이 지역 생태계에 역동성을 불어 넣는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부도 지역 주체와 적극 소통하고 협력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23년 신규 평생학습도시 주요 사업 내용
2. 2023년 평생학습도시 특성화 사업 목록
3. 평생학습도시 과거 운영 사례
4. 평생학습도시 조성 현황
본 저작물은 ‘교육부’에서 ‘2023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2023년 평생학습도시 선정 결과 발표」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교육부(www.moe.go.kr/main.do?s=moe)’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