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새로운 청년마을 주인공이 되세요
- 2월 14일(금)까지 공모 진행, 1개소당 3년간 최대 6억 원 지원
- 2025년 12개소 신규 선정해 청년의 지역탐색 기회 확대 기여
<청년마을 우수사례> |
# (2022년) 경상북도 예천군의 ‘생텀마을’ 경상북도 예천군의 ‘생텀마을’은 건강한 삶을 주제로 자연 속에서 요가와 명상 및 태극권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호두 등 예천의 특산물을 활용한 건강상품 개발과 지역주민 대상 ‘건강 돌봄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지역사회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
# (2023년) 충청북도 보은군 ‘라이더타운회인ㅎㅇ(하이)’ 충청북도 보은군 ‘라이더타운회인ㅎㅇ’은 빈집을 라이더 커뮤니티 공간, 카페 및 서점 등으로 탈바꿈시켜 라이딩을 즐기는 청년들의 지역 방문을 늘렸다. 올해는 또 다른 유휴공간을 라이더를 위한 펍&스테이로 활용해 보은군에 더 많은 청년의 발길이 닿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
# (2023년) 전라남도 고흥군 ‘신촌꿈이름마을’ 전라남도 고흥군 ‘꿈이름마을’은 꿈을 심는 농부, 고흥의 밥상, 고흥아트크래프트 등 지역살이에 필요한 기술을 청년에게 전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빈집 등 8개의 지역 유휴공간을 스테이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등 지역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
□ 행정안전부는 청년들에게 지역탐색과 정착의 기회를 제공하는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에 참여할 청년단체를 공개 모집한다.
○ 이번 공모는 1월 13일(월)부터 2월 14일(금)까지 진행하며, 청년과 지역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12개 지역을 선정하고, 최종 선정된 청년단체에게 1개소당 3년간 최대 6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 대상 지역별 2억 원, 이후 2년간 2억 원씩 추가지원 (최대 6억 원)
□ 2018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지역에 특색있는 청년마을을 조성해 지방소멸에 대응하고 지역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시행됐다.
○ 지난 2018년 전남 목포시 ‘괜찮아마을’, 2019년 충남 서천군 ‘삶기술학교’, 2020년 경북 문경시 ‘달빛탐사대’ 등 3년 동안 연 1개소 시범 조성을 거쳐,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12개소를 선정하여, 현재 39개의 청년마을이 전국 각지에서 운영되고 있다.
※ (시범운영 ’18~’20)매년1개소→(‘21년)12개소→(’22년)12개소→(‘23년)12개소
○ 특히, 청년마을에 참여하는 청년에게 일정기간 지역에 머무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청년이 직접 활동공간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청년 인구의 지역유입과 정착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청년마을은 그동안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청년들의 개성 넘치는 다양한 활동으로 지역 활성화를 견인해 왔다.
○ 2024년에는 지역 살아보기, 지역축제 및 교류 행사 등의 청년마을 운영프로그램에 약 20만 명의 청년이 참여해 인적이 드물었던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었고,
○ 241곳의 지역 유휴공간을 공유숙소, 공유오피스 등의 청년 활동공간으로 활용해 빈집문제 해결에도 기여했다.
□ 한편, 청년마을 12개소를 선정한 2021년 이래로 청년마을 공모에 매년 150여 개의 청년단체가 지원할 만큼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 올해 공모는 2년 만에 진행하기에 더 많은 청년이 관심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신규 청년마을 공모에 지원할 청년단체는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에 게시된 공고문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업 대상지의 관할 기초지자체에 사업계획서와 증빙자료 등을 제출하면 된다.
○ 청년정책 및 지역 활성화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서류심사에서 선정 규모의 2~3배수를 뽑으며, 이후 현지실사와 발표심사를 거쳐 최종 12개소를 선정하여 1개소 당 2억 원씩 지원하고 이후 사업성과에 따라 2년간 매년 2억 원씩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 김민재 차관보는 “청년마을을 계기로 지역에서 성장가능성을 발견하고 지역과 관계를 맺고 있는 청년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지역살이에 대한 인식도 서서히 긍정적으로 변해가고 있다”라며,
○ “올해에도 많은 청년들이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지역에서 새로운 꿈을 펼치며 지역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본 저작물은 '행정안전부'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2025년 새로운 청년마을 주인공이 되세요」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행정안전부(https://www.mois.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