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도시 백서
[제1편] 도시와 지역 전환 :
15분 도시와 30분 지역을 위한 파리의 관문(Portes de Paris) 프로젝트
서문
- 새로운 ‘크로노-어버니즘(Chrono-urbanisme)’을 위하여
- 도시와 디지털
Part 1 서론
- 연구배경
- 시간 중심의 도시계획
Part 2 방법론
- 연구의 공간범위
- HQVS 매트릭스의 전개: 지역 역동성의 발현기제이자 해석방법
- 지역의 사용자와 행위자: 사업 분석도구
- 데이터 수집 과정: 도시 예측
- 지표: 6가지 도심 사회적 기능 특성 규정
- 사회적 삶의 질 지표: 종합지수
Part 3 플랫폼 실현단계
- 데이터 모델 043
- 플랫폼의 특성 ①: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
- 플랫폼의 특성 ②: 시민참여를 위한 도구
- 플랫폼의 특성 ③: 3가지의 잠재적 사용법
- 특수기능: 페르소나(가상인물)의 상황별 검색
Part 4 전망
- 가치 창출 방법
- 주요 사업이슈
부록
- 연구진 및 외부 기여자
- 감사의 말씀
- 6가지 도심 사회적 기능 분류표
- “거주” 및 “업무”기능의 3가지 차원 별 특성변수
- “생활서비스공급” 및 “건강”기능의 3가지 차원 별 특성변수
- “교육” 및 “번영”기능의 3가지 차원 별 특성변수
--------------------------------------------------------------------------------------------------------------------------------------
[제2편] 개념부터 실현까지
서론
- 2020: 환경의 해
- 2020: 보건위기의 해
- 2020: 15분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조
- 세계로 열린 대화의 장
Part 1 15분 도시 개념의 이론적 정의연구배경
- 15분 도시: 삶의 질을 위한 초근접성 089
- 크로노-어버니즘: 일상 생활패턴과 공간의 연결 092
- 크로노토피아: 시간대에 따라 달라지는 장소의 용도 095
- 토포필리아(topophilie): 장소에 대한 애착 096
- 15분 도시: 지역, 공간의 다중성과 다양성 098Part 2 방법론
Part 2 15분 도시 모델을 위한 데이터 정형화
- 6가지 사회적 기능
- HQVS(양질의 사회적 삶) 추적성 매트릭스
- 궁극적 목표, 쾌적한 도시생활 정비
Part 3 15분 도시의 실행수단
- 밀도
- 근접성
- 기능적 혼합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편재성 해소
- 파리, 15분 도시를 향하여
Part 4 선도적인 도시사례 개요
- 오타와(Ottawa): “15분 동네(15-minute neighbourhood)”
- 멜버른(Melbourne): “20분 동네(20-minute neighbourhood)”
- 포틀랜드(Portland): “20분 동네(20-minute neighbourhood)”
- 바르셀로나(Barcelona): “슈퍼블록(Supermanzanas)”
- 밀라노(Milan)
- 낭트(Nantes)
- 뮐루즈(Mulhouse)
출처 : 국토연구원(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첨부파일 |
|
---|
로그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