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재정·지역경제·사회데이터
한곳에 모아 정책 수립에 활용
- 8월 28일(월),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3단계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 정책지원시스템’ 서비스 개시
□ 앞으로 지자체별로 축적된 지방재정 데이터를 모든 지자체와 공유하고, 지역 경제·사회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기능을 제공하여
지자체 정책수립 시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e호조+(플러스)) ’구축 3단계의 일환인 지방자치단체 정책지원시스템의
시험 운영을 완료하고, 8월 28일(월)부터 전 지자체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그동안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과 협력하여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단계별로 구축해 왔다.
○ 지난해 8월에는 1단계로, 243개 지자체별로 분산된 시스템을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고
지차체 예산편성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 올해 1월부터는 2단계로 예산집행, 계약, 자금, 자산, 부채, 세입세출외현금 등 총 470여 조(예산현액기준)의 지방재정 운용과
중복·부정 수급 방지 등을 위한 지방보조금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 이번에 개시되는 정책지원 서비스는 2007년부터 축적된 지자체의 세입, 세출, 결산 등 지방재정 데이터와 통계청 등의 지역경제·사회 데이터를
활용하여 8천여 개의 지표를 530여 개의 화면으로 제공한다.
□ 첫째, 종합지역현황을 통해서 지방재정과 지역경제·사회 현황을 전국, 시·도, 시·군·구 단위까지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하여 지자체 간
비교 분석의 활용도를 높인다.
□ 둘째, 데이터 기반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통계정보를 사용자 관점에서 도표, 차트 등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 특히, 지자체 모든 사업에 대해 예산서와 결산 정보를 산출 근거 단위까지 상호 조회할 수 있도록 하여 지차체 간 정보의 공유를 강화하였다.
□ 셋째, 지역상황 전망에서는 빅데이터 기반을 활용하여 재정규모, 사회복지분야 등 재원분담추이, 당해연도집행추계와 가용재원 추계를 제공한다.
□ 2024년부터는 유동인구, 카드사용 등 민간데이터를 활용한 지역경제·사회 분석을 확대하고 지자체 가용재원 예측 등의 분석모형을 개발하는 등
미래전망 지표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 아울러, 행안부는 데이터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지자체 일반 공무원들이 보다 쉽게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언어모델(챗GPT 등)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지속적인 고도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 도표, 차트 등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생성함으로써 업무 활용 방법이 획기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최병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지자체의 중요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활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정책 수립 시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라며 “앞으로 지자체 뿐 아니라 학계·연구원 등으로 사용 대상을 점진적으로 넓혀 나가
지역 정책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행정안전부’에서 ‘2023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지방재정·지역경제·사회데이터 한곳에 모아 정책 수립에 활용」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행정안전부(www.mois.go.kr/frt/a01/frtMain.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